소식

활동소식

[행사스케치] 창립 20주년 기념 연속포럼 '다시 20년, 이어 달립니다.' ep2 사랑으로 비판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by 관리자 / 작성일22-11-03 16:01 / 조회 719 / 댓글 0

본문

개혁연대는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다시 20년, 이어 달립니다' 라는 주제로 10월 18일(화)부터 4주 연속 매주 화요일 오후 7시에 연속포럼을 진행하였습니다.


두번째 시간으로 10월 28일 'ep2 사랑으로 비판운동'을 개최하였습니다.(ep1 교회대안 제시운동 행사스케치 여기클릭>

김정태 집행위원장이 진행을 맡았으며, 개혁연대의 지근거리에서 함께해왔던 배덕만 교수(기독연구원 느헤미야)와 변상욱 기자(전 CBS 대기자)를 초청하여 개혁연대의 비판운동에 대한 이들의 평가와 제언에 대하여 듣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45b86db75806e7fccd29235042d903cf_1667457457_5181.JPG
 

배덕만 교수 -개혁연대의 비판운동에 대한 비판적 소고




"개혁연대의 뿌리에는 비판운동이 자리하고 있다"

배덕만 교수는 개혁연대의 '창립선언문'(2002)을 통해 개혁연대의 정체성이 비판운동에 있음을 밝혔습니다. 

또한 배덕만 교수는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여 작성한 '제2기 출범선언문'(2011), '10주년 선언문'(2012), 그리고 정관을 통해 부패한 교회를 향한 비판적이고 예언자적인 기능이 개혁에게 주어진 하나님이 소명임을 재차 인식하였다고 말하였습니다.

 

배덕만 교수는 창립부터 현재까지의 비판운동의 역사를 살피고 개혁연대의 비판운동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열거하였습니다. 

1) 교회의 일탈과 목회자 비리를 지적하고 개선

2) 개 교회 문제 외, 교단, 기독단체, 기독연합단체들도 개혁의 대상

3) 가장 오래된 비판운동은 교회세습

4) 여성안수문제, 교회내성폭력문제 등 보다 광범위한 쟁점도 비판운동의 대상이 됨



45b86db75806e7fccd29235042d903cf_1667457501_5861.JPG
 

배덕만 교수는 발제 끝으로 개혁연대가 지금까지 자신의 설립목적(정체성)인 사랑으로 비판운동을 한결같이 수행하며 한국교회에 분명한 영향력을 끼쳤다고 말하였습니다. 

"한국교회사 130년 역사에 한결같이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면 활동한 단체를 찾아보기 힘듭니다." 

또한, 앞으로 개혁연대의 비판운동이 보다 창조적이고 즐겁운 운동이 되고, 비판운동에 집중된 에너지를 대안제시에 전환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습니다.


------------------------------


변상욱 기자 - 교회개혁실천연대의 평가와 과제-

변상욱 기자는 "만약 개혁연대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한국교회는 자정할 단체조차 갖고 있지 않는 집단이라는 비난을 면할 수 없었다"고 언급하며 개혁연대의 비판운동이 지난 20년간 한국교회 개혁의 구심점이 되어 온 것을 강조하며 발제를 시작하였습니다. 그의 발제는 개혁연대가 앞으로 도모해야 할 내부적인 과제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변상욱 기자는 먼저 운동에 재정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을 점검할 필요성을 언급하였습니다. 신자유주의 시대 속에서 시민단체의 과제는 무엇보다 생존이기 때문에 든든한 재정적 후원 인력 확보가 중요함을 밝혔습니다. 또한, 현실적으로 교회 안으로 들어가 비판운동을 펼치기 어렵기 때문에 교회 안의 구성원들이 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45b86db75806e7fccd29235042d903cf_1667457615_2159.JPG
 

그는 운동이 단순히 교회나 교단, 연합회를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구성원이 배양되는 신학대학교도 대상이 되어야 함을 간과하지 말것도 당부하였습니다. 또한, 범사회적 관심사인 기후위기, 민생고, 양성평등, 다문화 등의 사회적 의제가 교회의 의제로 자리잡을 수 있는 운동이 필요함을 제안하였습니다.
특별히 새로운 시대에 맞추어 SNS나 유튜브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되, 개혁연대가 하나의 허브의 역할을 하여 여러 단체의 연대를 조력하는 '플랫폼 활동'을 해줄 것도 말하였습니다.

변상욱 기자는 앞으로의 시대는 계급적인 문제가 더 심화될 것이고, 다양한 인종의 유입으로 지금보다 더 광범위한 다문화 사회가 될 것인데, 교회 역시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함으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고, 개혁연대에 이러한 시대를 읽고 방향성을 제시해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45b86db75806e7fccd29235042d903cf_1667458082_2261.JPG
 

질문과 답변

질문과 답변 시간에는 사회문제에 대하여 공감할 수 있는 방법, 전광훈에 대한 비판하지 못하는 한국교회의 문제, 혐오와 배제에 물든 보수교회, 교단의 기도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전체영상 : https://youtu.be/wUSh7whs1J0

자료집링크 :  https://bit.ly/3fqOK0n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