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박득훈 강의]한국교회 회복 해법은 '정통 실천'[뉴조09/28]
페이지 정보
작성자 by 관리자 / 작성일05-10-07 13:38 / 조회 4,948 / 댓글 0본문
박득훈 목사, 한국교회 회복 해법은 '정통 실천' | ||||||||||||||||||||||||
'개혁과 부흥 아카데미' 세 번째 강의, '가난한 자를 섬기는 교회' | ||||||||||||||||||||||||
| ||||||||||||||||||||||||
임왕성(jamesyim) jesusrevolution@hanmail.net | ||||||||||||||||||||||||
| ||||||||||||||||||||||||
| ||||||||||||||||||||||||
박 목사는 한국교회가 그 영향력을 상실하고 세상 사람들에게 전혀 감동을 주지 못하는 이유가 '정통 실천'을 상실해 버렸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가난한 자를 돌보는 삶을 핵심으로 하는 '정통 실천'을 회복하지 않는 한 한국교회의 진정한 회복은 있을 수 없다"라는 명제로 강의의 문을 열었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을 외면해 온 한국교회의 현상 저변에 깊은 신학적 오류가 자리 잡고 있다고 말하면서 두 가지 오류를 지적하였다. 첫 번째는 '오직 믿음으로'에 대한 왜곡으로서, 당시 루터가 믿음과 대조시킨 행위는 중세교회를 부패시키고 있는 공로사상에 기초한 행동들이었지 결코 진정한 믿음에 근거한 실천성이 아니었음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는 '값싼 은혜'로서, 세상의 모든 죄가 은혜로 용서되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의 삶과 부르주아 신분의 삶 사이에 아무런 갈등을 느끼지 못하는 현상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교회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 '창조적 권리'와 '정의의 측면'을 들어 이야기하였다. 인간은 창조 때부터 자신의 생계를 위해 최소한의 것들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당연한 권리를 가지고 태어났다.(창 1:29, 9:3) 또한 '정의'의 핵심은 가난한 사람들의 권리를 회복시켜주는 것으로서 이것이 성경의 핵심적인 가르침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청지기 사상·사회운동·사회봉사 강조 마지막으로 그는 교회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해야 할 일로서 '청지기 사상의 확립'과 '하나님나라의 정의 추구'라는 두 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청지기 사상은 구약 희년법의 핵심을 이루는 사상으로, 하나님은 토지를 비롯한 모든 물질의 주인이고 인간은 물질을 잠시 맡아 하나님의 뜻에 맞게 관리하는 청지기라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인간은 자신의 삶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재화, 즉 땅과 일정한 소득을 향유할 권리가 있으며 사회는 이를 보장해 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므로 자본주의의 소유권 또한 이러한 청지기 사상에 근거해 다시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로 하나님나라의 정의 추구를 위해서는 '나눔의 삶'과 '정의로운 경제제도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경제적인 것으로, 주리는 자를 좋은 것으로 배불리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또한 자신을 위해서는 최대한 검소한 삶을 살고 다른 사람을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많은 것을 나누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러한 나눔의 삶이 '사회봉사'(Social service)라면 정의로운 경제제도의 추구는 '사회운동'(Social action)이다. 이 두 가지는 동시에 이루어져야 온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오늘 우리 경제체제를 대표하며 소득불평등과 불평등한 노사문화를 고착화시키고 있는 신자유주의는 그 정점에 도달한 사람이나 그렇지 못한 사람들 모두에게 아주 매력적인 체제이다. 이것은 심지어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아주 매력적인 체제, 그람시의 '진지전'과 같은 형태로서는 그것을 뛰어넘을 수 없다. 그것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하늘로부터 오는 전망과 부활의 능력이 있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시대의 불의한 경제체제를 극복하는 중심에 그리스도인들이 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 박 목사는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라는 체 게바라의 말을 인용하면서, 이상과 현실 사이의 팽팽한 긴장 관계와 균형 감각을 가질 것을 주문하였다. 강의 후에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정의로운 경제제도 추구와 관련하여 "시장경제학자들의 주장처럼 시장의 자율성이 확대되면 소득불평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가", "자본과 지식의 상승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부의 편중 현상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공산주의 공동체의 현실 가능성은 있는가" 등의 질문과 이에 대한 답변이 이어졌다.
| ||||||||||||||||||||||||
2005년 09월 28일 |
- 이전글[방인성 칼럼]새 시대에는 새 교회가[뉴조10/10] 2005-10-13
- 다음글[지강유철 칼럼] "교회문제는 한국사회의 문제 교회밖 양심세력과 연대 고민" 2005-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