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단체행사]공정연대 아카데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by 관리자 / 작성일08-10-09 20:43 / 조회 1,834 / 댓글 0본문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http://soccer1.ktdom.com/bbs/data/soccer4u/castsound.js></script> </script> 공의정치란 무엇인가?
* 공동주관: 공정연대, ESF 서대문회관
* 장소: ESF서대문회관(서대문구창천동4-14, 서대문회관)
* 수강 대상자: 공의 정치에 관심 있는 기독청년 학생
* 수강료: 3만원(우리은행: 손봉호)
* 2008년 9월 29일부터 11월 17일까지. 저녁 7:30-9:30까지 8주 코스로 강의 구성.
제 1강: 9월 29일: 기독교 세계관과 공의정치:
-성경이 제시하는 공의로운 기독정치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간단한 개강 예배 후, 강의 진행:
-강사: 김 회권 목사(서울대 영문과, 장신대, 프린스턴, 현 숭실대 교수)
제 2강: 10월 6일: 북한 인권 문제와 MB의 대북정책:
-MB 정권 출범 후에 북한 인권을 매개로 조성되는 남북 대결 구도를 집중 분석하고 향후진로를
전망하며, 공의로운 통일 한반도 건설을 바라본다.
-강사: 김병로 교수(서울대 통일 연구원 연구교수)
제 3강: 10월 13일: 한국의 정치 현실에서의 “하나님의 정치와 한국 정치”
-짐 월리스의 <하나님의 정치>를 한국적 현실에서 풀어 본다.-
-강사: 배 기찬 교수(서울대 동양사학과, 충남대 교수)
제 4강: 10월 20일: 한국의 지방정치의 문제점과 제도 개선 방향:
-공의로운 지방자치의 확립을 위하여 지방자치의 현실을 진단하고 제도개선을 제안한다.-
-강사: 박 현희 교수(서울대 정치학 박사, 서울대 강의교수)
제 5강: 10월 27일: 국회 내의 기독정치인의 기독정치 활동: 그 가능성과 한계
-윌버포스와 한국의 기독 정치인 비교하면서 이시대의 최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공의 정치적 과제는 무엇인가를 탐색해본다.
-강사: 장헌일 교수(국회 조찬기도회 사무총장, 명지대 교수)
제 6강: 11월 3일: 18대 국회의 개헌: 그 핵심 이슈와 가능성을 전망해 본다.
헌법 속에 응결된 성경적 핵심가치를 조망하고, 공의로운 개헌 방향을 진단해 본다.
-강사: 이 국운 교수( 서울대 법대 박사, 헌법 전공, 한동대 법대 교수)
제 7강: 11월 10일: 한국 교회의 기독정당 운동과 공의 정치:
<한국 기독당>에서 <기독사랑실천당>으로 이어지는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역사를
조방해 보고, 한국 교회가 공의정치를 위해 준비해야할 사항을 점검해 본다.
-강사: 최은상 목사(서울대 정치학과, 공정연대 사무처장)
제 8강: 11월 17일: 한반도의 통일과 Korea Frontier:
-한반도 통일을 넘어서서 전 세계에 흩어진 8천만 한민족에게 부어주시는 웅대한 민족
부흥의 비전을 모색한다. 정의와 평화로 세계를 섬기는 한민족 공동체를 바라본다.
-강사: 정 지웅 박사(서울대 정치학 박사, 통일미래사회연구소 소장)
강의실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창천동 4-14, 서대문회관(이대입구역 1번출구; 363-8309, 070-7431-0796)
* 공동주관: 공정연대, ESF 서대문회관
* 장소: ESF서대문회관(서대문구창천동4-14, 서대문회관)
* 수강 대상자: 공의 정치에 관심 있는 기독청년 학생
* 수강료: 3만원(우리은행: 손봉호)
* 2008년 9월 29일부터 11월 17일까지. 저녁 7:30-9:30까지 8주 코스로 강의 구성.
제 1강: 9월 29일: 기독교 세계관과 공의정치:
-성경이 제시하는 공의로운 기독정치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간단한 개강 예배 후, 강의 진행:
-강사: 김 회권 목사(서울대 영문과, 장신대, 프린스턴, 현 숭실대 교수)
제 2강: 10월 6일: 북한 인권 문제와 MB의 대북정책:
-MB 정권 출범 후에 북한 인권을 매개로 조성되는 남북 대결 구도를 집중 분석하고 향후진로를
전망하며, 공의로운 통일 한반도 건설을 바라본다.
-강사: 김병로 교수(서울대 통일 연구원 연구교수)
제 3강: 10월 13일: 한국의 정치 현실에서의 “하나님의 정치와 한국 정치”
-짐 월리스의 <하나님의 정치>를 한국적 현실에서 풀어 본다.-
-강사: 배 기찬 교수(서울대 동양사학과, 충남대 교수)
제 4강: 10월 20일: 한국의 지방정치의 문제점과 제도 개선 방향:
-공의로운 지방자치의 확립을 위하여 지방자치의 현실을 진단하고 제도개선을 제안한다.-
-강사: 박 현희 교수(서울대 정치학 박사, 서울대 강의교수)
제 5강: 10월 27일: 국회 내의 기독정치인의 기독정치 활동: 그 가능성과 한계
-윌버포스와 한국의 기독 정치인 비교하면서 이시대의 최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공의 정치적 과제는 무엇인가를 탐색해본다.
-강사: 장헌일 교수(국회 조찬기도회 사무총장, 명지대 교수)
제 6강: 11월 3일: 18대 국회의 개헌: 그 핵심 이슈와 가능성을 전망해 본다.
헌법 속에 응결된 성경적 핵심가치를 조망하고, 공의로운 개헌 방향을 진단해 본다.
-강사: 이 국운 교수( 서울대 법대 박사, 헌법 전공, 한동대 법대 교수)
제 7강: 11월 10일: 한국 교회의 기독정당 운동과 공의 정치:
<한국 기독당>에서 <기독사랑실천당>으로 이어지는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역사를
조방해 보고, 한국 교회가 공의정치를 위해 준비해야할 사항을 점검해 본다.
-강사: 최은상 목사(서울대 정치학과, 공정연대 사무처장)
제 8강: 11월 17일: 한반도의 통일과 Korea Frontier:
-한반도 통일을 넘어서서 전 세계에 흩어진 8천만 한민족에게 부어주시는 웅대한 민족
부흥의 비전을 모색한다. 정의와 평화로 세계를 섬기는 한민족 공동체를 바라본다.
-강사: 정 지웅 박사(서울대 정치학 박사, 통일미래사회연구소 소장)
강의실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창천동 4-14, 서대문회관(이대입구역 1번출구; 363-8309, 070-7431-0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