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악마는 선한 ‘신의 가면’을 쓰고 나에게 다가왔다” [일요신문 2/23]
페이지 정보
작성자 by 관리자 / 작성일18-03-01 11:04 / 조회 1,087 / 댓글 0본문
“그렇게 악마는 선한 ‘신의 가면’을 쓰고 나에게 다가왔다”
[언더커버] 종교계 미투2- 종교계 성폭력, 이렇게 당하고 덮힌다
[제1346호] 2018.02.23
미투 운동이 여러 분야로 확산되면서 종교계에서도 ‘성폭력 피해’ 목소리가 나올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성직자는 영혼의 지도자로 불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역설적이게도 “가해자들은 이 점을 악용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폐쇄적이고 위계질서가 뚜렷한 종교계의 성범죄는 유사한 패턴이 있다”고 진단했다.
(중략)
이처럼 종교인 성범죄 가해자들 가운데 상당수는 자신의 지위를 악용해 범죄를 저지른다. 삼일교회를 개척해 ‘스타 목회자’로 떠오른 전병욱 목사의 성추행이 2010년 도마 위에 올랐다. 전 목사는 2004년부터 2009년 사이 목회실 안에서 여성 교인에게 구강성교를 강요하고 예배 시간에 찬양 대원의 몸을 더듬는 등 성추행을 일삼은 것으로 전해진다.
전 목사의 성추행 사건 내막을 담은 책 ‘숨박꼭질’의 집필진은 “피해자들이 아이돌이나 마찬가지인 목사에게 맞설 용기를 갖기 힘든 것이 교회의 현실”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김애희 교회개혁실천연대 사무국장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 유형 모두 다양하다. 담임목사, 부목사, 전도사 등 목회자는 물론 장로들도 있다. 피해자들도 권사, 집사 같은 직분 여성 신도들은 물론 여성 청년과 미성년자들도 많다. 같은 직분 내 성폭력은 거의 없다. 위계질서에 따른 상하 관계의 전형적인 성폭력들이다”라고 꼬집었다.
종교인 성범죄 가해자들은 피해자들의 취약한 부분을 파고든다. 바로 ‘믿음’이다. 옥복연 소장은 “종교인들은 ‘영적인 지도자’다. 심지어 ‘저 분의 말을 잘 들으면 수행도 잘 되고 사후에 좋은 곳에 갈 것’이라는 무한한 믿음을 갖고 있는 분도 많다. 처음엔 ‘스님이 설마 나에게 그런 일을 저질렀을까’라고 생각하게 된다. 심각성을 인지하게 되도 영적 지도자에게 성폭력을 당했다고 얘기하기 어렵다. 그건 불교를 떠나겠다는 마음까지 먹어야 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종교인 성범죄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수법도 있다. 김애희 사무국장은 “피해자는 돌봄이 부족하거나 이혼 혹은 혼자 아이를 키우는 등 사회 관계망이 부족한 아이나 여성들이 대다수“라며 ”가해 목회자들은 교회 봉사를 나오도록 부추기는 등 상황을 유도한다. 그렇게 반복적으로 관심과 관계를 맺고 아예 피해자와 ‘종속관계’를 만들어 버린다. 피해자는 가해자의 관심이 없으면 힘들어하고 아무 것도 할 수 없게끔 말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사무국장은 ”이러한 피해자들은 가해 목회자의 관심이 절대적이다. 이 상황에서 가해 목회자는 범죄를 저지른다. 일부 피해자들은 본인이 폭력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도 못한다. 세뇌되는 것“이라며 ”그러다 가해 목회자가 질리면 대상을 바꾼다. 그럼 피해자들이 자신이 폭력을 당했다는 것을 깨닫고 큰 상처를 받는다. 이 과정이 계속 반복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각한 문제는 미성년자의 성폭행 사례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김 사무국장은 “제보 사례 중에 교회에서 성폭력을 당한 미성년자 피해자들도 정말 많다“라며 ”미성년자 성범죄는 공소시효도 없다. 그 만큼 심각한 문제라는 말이다. 특히 교육 전도사들과 교육 교사들이 가해자인 경우가 많다. 대개 타깃은 한 부모 가정이나 부모의 돌봄이 부족한 아이들이었다”라고 밝혔다.
더욱 심각한 것은 어느 교단을 불문하고 피해자가 어렵게 문제를 제기해도 교단 내에서 사건을 은폐하거나 뭉개는 사례가 빈번하다는 점이다.
조계종단 호계원(재판부 격) 호계위원(판사 격)으로 재직할 당시 H 스님은 여직원을 성폭행해 아이까지 낳게 해 파문이 일었다. 이에 대해 옥 소장은 “당시 성불연대 차원에서 ‘H 스님이 호계위원으로 활동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며 계속 문제 제기를 했으나 6개월 동안 조계종단이 사건을 뭉갰다”고 주장했다.
전 목사 사건을 처리해야 할 1차적 책임이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평양노회 또한 2014년까지 전 목사 사건을 아예 입에 올리는 것조차 거부했다. 그러다가 여론의 관심이 쏠리자 마지못해 재판국을 꾸렸다.
내부에서 사건 처리가 지지부진한 사이 피해자들은 2차 피해를 겪는다. 김 사무국장은 “피해자들이 문제를 드러내면 거의 대부분 교회는 피해여성을 꽃뱀이나 심지어 교회에 잠입한 이단으로 취급을 한다“라며 ”‘왜 목사를 유혹했냐’ ‘왜 늦은 시간 목사를 찾아갔느냐’ 등의 피해 유발론을 들이댄다. 대부분 다 그렇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사무국장은 ”피해자들은 가해 목회자의 1차적 가해보다도 오히려 교회 차원에서 가해지는 2차적 가해에 더 분노한다“라며 ”이것이 트라우마의 직접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실제 ‘전병욱 목사 성추행 사건’의 피해자들도 당시 전 목사를 지지하는 교인들에게 ‘꽃뱀’과 ‘이단’으로 낙인찍혔다.
여전히 종교계 내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를 사회법으로 응징하기란 쉽지 않다. 종교인을 신처럼 떠받드는 종교계 풍토 때문이다. 옥 소장은 “끝까지 법적 투쟁을 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단체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며 ”안타깝게도 상담을 마친 뒤 ‘도저히 감당을 못 하겠다’며 상담을 철회한 경우도 있었다. ‘집 안 문제는 집 안에서 풀어야 한다’는 종교계의 분위기 특성 상 공개되길 원하지 않는 경우가 부지기수”라고 말했다.
더욱 염려스러운 부분은 상당수 교단이 ‘성폭력 문제’에 대해 여전히 ‘전체가 아닌 극히 일부의 문제’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지난 2016년 성당 신부 A 씨는 여성 신자를 성추행해 논란이 됐다. A 씨는 피해여성을 껴안고 몸을 더듬는 등의 행위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해 서울대교구 소속 한 사제 또한 여성 신자를 성추행 한 혐의로 기소 된 바 있다.
(후략)
기사 원문 보기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90214
- 이전글“교단 성폭력 문제? 상시적 문제 아닌데 상설기구 왜 필요하냐” 종교계 인식 심각 [일요신문 2/23] 2018-03-01
- 다음글예장통합, '교회 내 성폭력' 대응 지침 논의 [뉴스앤조이 2/23] 2018-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