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앤조이-최유리 기자] 1853년, 개신교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 목사가 탄생했다. 100년 뒤인 1954년, 한국은 최덕지 전도사에게 안수를 주며 여성 목사 시대를 열었다. 이미 60여 년 전 여성 목사가 나왔지만, 여전히 일부 교단은 여성에게 목사 타이틀을 주고 있지 않다.

총신대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말 신대원 여학우가 모인 자리에서 박유미 전 총신대 교수는 "여성 목사 안수를 열어 달라"고 기도했다. 설교자였던 김영우 총장은 "여성 안수라는 보루가 무너지면 성경적 신앙의 보루가 무너진다"며 이들의 기도를 전면 부정했다. 이후 총신대에서 여성 관련 과목이 폐지되거나 여성 강사가 강단에 서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교회개혁실천연대(개혁연대·공동대표 방인성·박득훈·백종국·윤경아)는 6월 2일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에서 '여성 안수, 신학적 확신에 도전하다'는 주제로 포럼을 열었다. 패널로 박유미 교수(전 총신대 구약학), 조석민 교수(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임희국 교수(장신대 교회사), 강호숙 교수(전 총신대 교회여성리더십)가 나왔다. 주제가 주제였던지 청중들 중에는 여성이 많았다.

포럼은 개혁연대 방인성 목사 인사말로 시작했다. 방 목사는 성경무오설을 철저히 믿는 재건교회에서 첫 여성 목사가 나온 사실을 언급하며 아직까지 합동과 합신에서 여성 목사 안수를 허용하지 않는 현실이 답답하다고 했다.

그는 일부 교단에서 주장하는 여성 안수 거부 명제가 종교개혁 정신과도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성직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안수 행위에 대단한 권위를 부여하는 행위는 종교의 틀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번 포럼이 여성들에게 새로운 용기를 주고 한국교회를 개혁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203822_55106_756.jpg

▲ 여성 안수와 관련된 포럼이 열렸다. 패널로 새학기를 한 달 앞두고, 총신대에서 강의를 하지 못하게 된 박유미, 강호숙 교수가 참가했다. ⓒ뉴스앤조이 최유리

(후략)

기사 원문을 보시려면 클릭하세요 http://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9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