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언론보도

캐나다연합교회의 사례로 비추어 본 교단 총회의 대안은? [뉴스앤조이 9/8]

페이지 정보

작성자 by 관리자 / 작성일15-10-06 16:43 / 조회 947 / 댓글 0

본문

캐나다연합교회의 사례로 비추어 본 교단 총회의 대안은?
교단 총회의 현실과 과제 포럼 발제문3…교회 정치, 회중의 대표성이 보장돼야
newsdaybox_top.gif 2015년 09월 08일 (화) 16:42:02



한국 장로교단들의 총회가 다음 주로 다가왔습니다. 총회는 개교회의 상회인 교단의 가장 큰 의결 기구로, 각 교단에서 논의·결정하는 사안들은 개교회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이렇게 중요한 회의이지만, 일반 교인들은 관심이 없거나 아예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게 현실입니다. 총회는 목사·장로들만의 리그가 된 지 오래입니다.


교회개혁실천연대(개혁연대)는 수년 전부터 일반 교인들을 대상으로 교단 총회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고, 참관단을 운영해 왔습니다. 또 각 교단에 교회 세습 금지, 목회자 세금 납부, 양성평등 등 교회 개혁의 어젠다를 제안해 왔습니다.


개혁연대가 지난 9월 1일, '교단 총회의 현실과 과제'라는 주제로 포럼을 열었습니다. <뉴스앤조이>는 하루에 하나씩 3일에 걸쳐 포럼에서 나왔던 발제문을 게재합니다. 아래는 최형묵 목사(천안살림교회, 한신대학교 초빙교수)의 발제문입니다. - 편집자 주


1. 시작하는 말

매년 9월이면 한국교회 주요 장로교단을 비롯한 많은 교단에서 교단 총회를 연다. 장로교 총회는 올해 100주년을 맞이하기도 한다. 매년 열리는 총회는 각 교단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기회로서 중요한 계기임에 틀림없지만, 그것이 교회의 일반 회중과는 무슨 상관이 있는지 의문시된 지 오래되었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교회 일반 회중의 대표성을 보장하지 않는 교단의 정치 구조에서 비롯한다.


이와 같은 한국교회 정치 구조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범례로 캐나다연합교회의 사례를 간략히 검토하려고 한다. 본 발제에서, 교회 회중과 무관한 한국교회 상층 정치 구조와 관련해서는 오래 전부터 제기해 온 발제자의 주장으로 재확인하고자 하며,1) 캐나다연합교회 사례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캐나다연합교회가 스스로 소개하는 내용2)에 의존하면서 발제자가 교류를 나누는 가운데 받은 인상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200042_49628_5327.jpg
▲ 최형묵 목사. (사진 제공 교회개혁실천연대)




2. 한국교회의 독점적인 상층 정치 구조

1) 독점적인 상층 정치 구조

2) 회중의 대표성을 보장하는 교회 정치 구조


3. 캐나다연합교회의 사례

1) 캐나다연합교회의 간략한 역사

2) 캐나다연합교회의 총회 구성

3) 캐나다연합교회 총회의 운영


4. 마치는 말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클릭하세요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00042


발제문이 수록된 자료집을 보시려면 클릭하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