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노회가 전병욱 목사 징계 절차에 착수했다. 삼일교회 송태근 목사는 긴급 동의안을 노회에 제출했고, 노회원들은 이를 받아들였다. 삼일교회는 즉결심판을 원했지만, 평양노회는 절차상의 이유를 들며 재판국을 구성해 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뉴스앤조이 장성현

수년간 여교인들을 상습적으로 성추행한 전병욱 목사가 노회 재판에 회부된다. 2010년 성추행 사실이 언론에 드러난 후 4년 만이다. 전 목사가 소속한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평양노회(강재식 노회장)는 10월 13일 열린 정기회에서, 격론 끝에 재판국을 구성해 전 목사 치리를 판결하기로 했다. 재판국이 한 달 내로 판결하면, 이후 임시회를 열어 판결을 수용할지 결정하기로 했다. 전 목사는 정기회에 출석하지 않았다.

회의가 시작되기 전까지 평양노회가 전병욱 목사 징계 안건을 다룰 것인지 불투명했다. <숨바꼭질>로 전 목사를 성토하는 여론이 고조되고, 삼일교회(송태근 목사)가 노회에 '전병욱 목사 면직 청원'을 올렸다. 그러나 노회가 이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 돌면서 평양노회 정기회는 혼란을 예고했다.


(중략)


역시나 전병욱 목사를 재판정에 서게 하기까지는 험난한 과정의 연속이었다. 회의가 시작되기 전부터 <숨바꼭질> 책임 편집자 이진오 목사를 비롯한 '전병욱목사성범죄기독교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 회원들이 예배당 앞에서 시위를 시작했다. 개회 직전인 오후 1시에는 공대위와 삼일교회 교인 30여 명이 함께 예배당으로 진입해 강재식 노회장에게 '전병욱 목사 면직 청원서'를 제출했다. 강재식 노회장은 "청원서가 정식 절차를 거치지 않아 효력이 없다"고 말한 뒤 청원서를 받았다.

공대위와 삼일교회 교인들은 평양노회 회원들에게 "한국교회를 살려 주세요", "전병욱 목사를 징계해 주세요"라고 호소했다. 노회원들은 갑작스런 상황에 당황한 듯 멍하니 공대위와 삼일교회 교인들을 바라보기만 했다. 몇몇 노회원은 "고작 그것 때문에 한국교회가 죽느냐"며 비아냥댔다.


(중략)


노회원들의 갑론을박은 한 시간가량 계속됐다. 결국 즉결 심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평양노회는 재판국을 구성해 전병욱 목사 징계 여부 판결하고, 이후 열리는 임시회에서 최종 승인하기로 했다. 재판국원은 강재식 노회장을 비롯해 박희규·서문강·김진하 목사와 최병덕·윤달균·박원국 장로가 투표로 선출됐다. 정기회가 끝난 후 회의장을 나가는 송태근 목사를 만났다. 그는 "인터뷰는 나중에 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클릭하세요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197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