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동네와 오웅진 신부의 비리 의혹을 다룬 KBS ‘추적 60분’ 보도에 대해 꽃동네가 홈페이지를 통해 반박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8월 30일 방송된 ‘추적 60분’은 ‘꽃동네에 묻습니다’라는 제목으로 막대한 국가 보조금이 꽃동네에 투입되는 만큼 이 돈이 시설 생활인을 위해 제대로 쓰이는지 확인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꽃동네는 나름으로 홈페이지에 반박과 해명 글을 올렸으나, 전문가들은 꽃동네 식의 대형 수용시설이 더 이상 시대 흐름에 맞지 않아 바뀌어야 하며 교회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다.
“꽃동네 토지 확장 계속돼…부동산 투기 의혹”
|  | | ▲ KBS '추적 60분'에서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한 꽃동네 ⓒ한상봉 기자 | 또 ‘추적 60분’은 음성 꽃동네 주변의 대규모 부지 매입과 관련해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했다. ‘추적 60분’에 출연한 김규헌 변호사(2003년 당시 꽃동네 수사 담당 검사)에 따르면 오웅진 신부가 2003년 검찰 조사를 받을 당시에도 여의도의 3배에 달하는 3백만 평 이상의 땅을 소유하고 있었다.
‘추적 60분’은 꽃동네의 토지 확장이 최근에도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음성 꽃동네 인근 계곡을 따라 땅을 사들이고 있으며, 중간에 길을 끊어 다른 사람들은 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꽃동네가 산과 계곡을 독점해 인근 주민들의 통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추적 60분’은 꽃동네 관련 농지의 대부분이 2009년 설립된 꽃동네 유한회사로 넘어간 상태인데, 이 회사의 대표는 오웅진 신부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수녀이고, 오 신부는 30%의 지분을 가진 대주주라고 밝혔다. 이어 유한회사의 특징은 주식회사와 달리 외부 감사를 받을 필요가 없고, 후원금이 집중되는 꽃동네 유지재단도 먼저 공개하기 전에는 회계에 대해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사회복지 예산의 꽃동네 집중 문제도 언급됐다. ‘추적 60분’은 수용인원 2000여 명에 달하는 가평 꽃동네에 올해 가평군 사회복지예산의 20.4%에 달하는 149억원이 투입됐다고 보도했다. 또 연간 400억 원의 보조금이 꽃동네에 들어가지만 감사는 매년 시설관리에만 집중되고 있다고 했다.
꽃동네, “‘추적 60분’은 편파 왜곡 보도”
이 같은 ‘추적 60분’ 보도에 대해 꽃동네는 지난 1일 홈페이지에 반박 자료 ‘KBS추적 60분, 꽃동네관련 편파 왜곡 보도에 대하여’를 게시하고, “(‘추적 60분’은) 또 하나의 꽃동네 비방 프로그램으로 일부 꽃동네를 음해하는 소수가 의도적으로 꽃동네를 비방할 목적으로 제작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 “꽃동네를 비방하는 의도적 취재라는 사실을 예상했기에 KBS측에 생방송 토론을 통해 진의를 밝히기를 요청하였지만, KBS는 이러한 요청에 회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꽃동네는 ‘추적 60분’이 제기한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 “꽃동네 땅(승주골)은 하루 3000여 명이 마실 상수원(충북허가) 보호와 상수도관 매설을 위해 길을 따라 마련한 것”이며 “그 외의 땅은 가난한 이들을 돌보는 복지시설(가평, 강화, 서울, 청주, 옥천, 청원)뿐만 아니라, 한해에 30만 명이 다녀가는 사랑의 연수원과 꽃동네 대학교, 꽃동네학교, 꽃동네묘지를 위해 필요한 부지”라고 해명했다. 또 국고 보조금과 사용에 대해 “법에 따라서 1개월에 한 번씩 국가에 보고하고 있으며, 규정된 항목 외에는 사용할 수가 없어서 땅을 매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꽃동네유한회사에 대해서는 “꽃동네 가족들에게 안전한 농산물과 품질 좋은 식품을 공급하기 위해, 농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설립한 농업법인”이며, 농지 구입비는 수도자들의 급여를 절약하여 마련한 것이고 수익은 꽃동네의 목적사업에 쓰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수도자들이 가진 유한회사 지분은 예외 없이 꽃동네 재단에 질권 설정돼 있고, 후일 수도자 친가 가족이 상속 받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대규모 수용 시설은 시대착오” “교회나 기관이 먼저 자정 노력을”
꽃동네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는 이유는 무엇이며, 개선할 방법은 없을까? 천주교 내 연구기관에 재직 중인 한 연구자는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와 전화 인터뷰에서 “꽃동네의 브랜드네임 탓에 너무 많은 후원금을 과점해 왔다”고 지적했다. 또 “후원금을 제대로 쓰는 것이라면 그렇게 넓은 땅을 갖고 있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 돈은 생활인들을 위해 써야 한다”며, 그동안 꽃동네가 받은 후원금 규모를 고려하면 여전히 ‘대규모 시설’을 운영하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  | | ▲ 장애인 단체들은 시설복지보다 자립생활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한상봉 기자 |
이 연구자는 대규모 수용시설이 현 시대에 맞지 않다는 것이 사회복지학계의 중론이라며, “시설을 소규모 그룹홈 형태로 전환하고, 생활인들이 조금 더 인간적인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줄어드는 추세인 대규모 시설을 유지하고 고집하는 것은, 심하게 말하면 생활인들을 이용해 ‘앵벌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신교 교회개혁실천연대 김애희 사무국장은 “한국에는 종교가 운영하는 시설을 감시하거나 견제할 기구가 없고, 그것이 투명하게 운영되도록 담보할 원칙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김 국장은 종교인이 운영하는 시설이나 자금에 대해 특별히 관리, 감독할 법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것은 그만큼 한국 사회에서 교회가 신뢰받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김 국장은 “(종교 시설에 적용되는) 기존의 법을 분명히 적용하면 된다”면서 “새로운 법을 만들어 강제하기보다는 교회나 기관이 먼저 자정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원문보기: 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61
|